Surprise Me!

[세계를 보다]승복이냐 불복이냐…美 선거 뒤가 더 걱정

2020-11-01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앞서도 보셨지만 이틀 뒤 미국 대통령으로 누가 당선되더라도 기대보다는 우려가 앞서는 게 현실입니다. <br><br>특히 이번엔 사전투표가 역대 최대치였죠. <br><br>현장 투표 결과를 뒤집을 때마다 혼란에 혼란을 거듭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세계를 보다 김민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미국 대통령 선거에선 전국 득표율에선 이기고도 결국 패배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. <br> <br>민주당 후보였던 앨 고어 부통령과 공화당 조지 부시 후보가 맞붙었던 2000년 대선. <br><br>고어는 48.4%의 득표율로 47.9%의 부시를 이겼지만, 선거인단은 부시가 271명, 고어는 267명이었습니다. <br> <br>플로리다에서 표 차이는 단 537표. <br><br>고어는 재검표를 요구했지만 미 연방대법원은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앨 고어 / 전 부통령(2000년)] <br>"법원의 결정을 강하게 반대합니다만 받아들이겠습니다. 국민의 단합과 민주주의를 위해 승복하겠습니다." <br> <br>가장 아름다운 승복으로 불리는 장면이지만 이번 선거는 다릅니다. <br> <br>이미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불복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(지난 5월)] <br>"우편 투표 과정에서는 부정한 일들이 많이 일어나요."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이 보수 성향의 배럿 연방대법관을 서둘러 임명한 것도 불복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바이든 후보는 미국 역사상 이런 대통령은 없었다며 맹비난 해왔습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민주당 대선 후보(지난 6월)] <br>"약속합니다. 그런(불복하는) 상황이 온다면, 군대가 트럼프 대통령을 백악관에서 내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." <br> <br>두 후보 모두 압승하지 못하면 혼란은 불가피합니다. <br><br>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선 이후 폭력 사태 가능성에 대해 36%가 매우 걱정된다, 39%가 다소 걱정된다고 답했습니다. <br> <br>미국인 4명 중 3명이 폭력사태를 우려하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[서정건 /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] <br>"트럼프가 선동할 때 트럼프 열혈 지지자들이 추종한단 말이죠. 이 사람들이 백인 우월주의자들이라서 총기 참사도 날 수도 있고." <br> <br>뉴욕 타임스스퀘어에서 트럼프 대 반 트럼프 지지자들이 충돌했고, <br> <br>[현장음] "이 반대파들아!" <br> <br>필라델피아에선 경찰이 쏜 총에 흑인이 맞아 숨지면서 약탈도 벌어집니다. <br> <br>습격 받은 월마트는 일부 매장 진열대에서 총기와 탄약을 빼기로 했습니다. <br><br>우편투표 급증과 50개 주의 선거법이 각기 다른 상황에서 유효표와 무효표를 가르는 기준을 두고 벌써 법정 다툼이 시작됐습니다. <br><br>코로나19의 재확산과 미국 대선의 불확실성은 경제의 이중침체, 곧 더블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<br> <br>[하상응 /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] <br>"양극화도 엄청나게 심해졌고 불신과 분노와 경멸심이 상당히 심한 상황이기 때문에 2000년 선거 결과가 반복된다면 아름답게 끝나지 않을 거란 게 걱정거리죠." <br> <br>차기 대통령이 성경에 손을 얹고 선서를 해야 하는 내년 1월 20일. <br> <br>승복이냐 불복이냐, 운명의 카운트다운이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'세계를 보다' 김민지입니다. <br> <br>mettymom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: 김민정

Buy Now on CodeCanyon